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쏜SSON의 PM/PO 달리기

OKR? 제품팀이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법 본문

PM 아티클

OKR? 제품팀이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법

쏘니쏜쏜 2025. 3. 13. 12:25
반응형

OKR은 많은 기업이 성공을 정의하는데 사용하는 가장 인기 있는 프레임워크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많은 제품팀이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최근 "Who Does What by How Much"의 저자인 제프 고델프와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Q. 이번 책을 집필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요?

지난 1년간 책을 집필하고 출간하는데 집중했는데요, 이 책은 OKRs에 고객 중심적인 접근 방식을 적용하여 더 강력하고 유용하게 만드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핵심은 조직이 피처 중심이 아닌 사람 중심의 목표를 설정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결국 기업이 실제 고객의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제품을 개발하도록 돕는 것이 목표입니다.

 

Q.OKRs는 왜 이렇게 널리 사용되고 있을까요?

OKRs의 인기는 지난 10년간 급격히 상승했는데 이는 존도어의 저서인 구글 사례를 통해 소개하면서 부터입니다.

많은 기업이 구글도 하고 BONO도 한다는 메시지에 이끌려 OKRs를 도입했죠. 이는 애자일이나 디자인 씽킹과 같은 방법론이 확산된 과정과 유사합니다.

그러나 OKRs를 대규모로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기업들은 OKRs의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도입하려 하지만, 구체적인 실행 방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실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결과 잘못된 적용과 팀의 피로도 증가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Q. OKRs를 잘못 적용하는 대표적 사례는 무엇인가요?

저자는 책을 집필하기 전, 좋은 OKRs는 어떤 모습인지 왜 그것이 중요한지에 대한 강력한 입장을 밝힌 책은 없었습니다. 고객 중심적인 OKRs를 강조하는데, 즉 목표는 미래 고객에게 제공할 혜택을 명확히 나타나는 질적 진술이어야하며, 핵심 결과(Key Results)는 사용자 행동을 측정하는 지표여야 합니다. 기업들이 OKRs를 잘못 적용하는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결과 Outcome 대신 산출물(Output) 사용

  • 잘못된 예시
    • 목표 : 북미에서 가장 쉽게 식료품을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가 된다.
    • 핵심 결과 : "모바일 앱 출시" , "제휴 마케팅 캠페인 론칭"
    • 문제점 : 앱 출시나 캠페인은 결과가 아닌 단순화 작업이며 실제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했는지 측정하지 않습니다. 결국, 기존 목표 설정 방식에 OKRs라는 이름만 붙인 것에 불과합니다. 

2) 탐색 할 자유가 없음

  • 설령 좋은 OKRs 설정하더라도, 팀이 이를 달성하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해결할지 스스로 탐색할 자유가 없다면 의미가 없습니다.
  • 팀이 어떤 코드, 디자인, 마케팅 전략이 목표를 달성하는데 가장 효과적인지 결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 하지만 많은 조직에서는 팀이 특정 솔루션이 효과가 없다고 판단해도 반드시 그 솔루션을 개발해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이렇게 되면 결국 전통적인 명령 - 통제식 방식으로 회귀하게 됩니다.

Q. OKRs를 제대로 실행하려면 별도의 교육이 필요한가요? 아니면 시행착오를 통해 배울 수 있나요?

어느정도의 사전 준비가 필요합니다. 제가 OKRs교육을 제공하고 있지만, 단순히 "이제부터 OKRs를 도입하겠습니다"라고 선언한다고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기업이 OKRs를 도입하려면 직원들에게 OKRs가 무엇인지? 왜 도입하는지? 성공적인 활용법은 무엇인지를 교육해야합니다. 특히, OKRs를 대규모로 적용할 경우 체계적은 교육이 더욱 중요합니다.

 

Q. 리더십과의 마찰이 발생할 경우, 제품틴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OKRs는 객관적인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도구가 되어야 합니다.

  • 팀의 성과가 저조할경우, "실패했다"는 평가보다는 "무엇을 배웠는가?"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 리더십이 OKRs가 회사의 전략과 맞지 않는다고 느낄경우 팀은 자신들의 목표가 조직의 더 큰 목적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설득력있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만약 인증팀이 있고 회사의 핵심목표가 비용절감이라면 다음과 같이 설명이 가능합니다.

"우리는 온라인 식료품 시장에서 가장 효율적인 인증 프로세스를 만들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고객센터의 로그인 관련 문의를 90% 감소시키고, 비밀번호 재설정 요청을 줄이며, 첫 구매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것입니다."

이런식으로 팀의 목표가 비용 절감이라는 조직의 목표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명확히 보여주어야 합니다.

 

Q. OKRs를 처음 도입하는 기업이 참고할만한 사례가 있나요?

다음과 같은 기본 원칙을 따르면 좋습니다.

  • OKRs 개수
    • 적을수록 좋다. 한 팀당 하나의 목표가 이상적
    • 핵심 결과는 1~3개(최대 4개까지)
    • OKRs가 많아지면 우선순위를 정하기 어려워진다.
  • 검토주기
    • 주간(Weekly) : 팀 내부 점검 및 학습 공유
    • 월간(Monthly) : 핵심 이해관계자 업데이트
    • 분기별(Quarterly) : 목표 달성 여부 및 우선순위 조정
  • 팀 구성
    • 소규모 팀(5~7명) : 팀 전체가 OKRs 작성
    • 대규모 팀 : 제품, 디자인, 엔지니어링 대표들이 초안 작성 후 피드백 반영

Q. 기업이 OKRs를 효과적으로 시작하는 방법은?

  • 소규모 팀(6~10)으로 시작
  • 12주간 실험 진행
  • 팀이 특정 프로젝트에서 OKRs를 적용하며 학습
  • 성공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점진적으로 확장

대규모 조직에서 OKRs를 도입할 떄 처음부터 전사적인 OKRs를 관리 소프트웨어를 도입할 필요는 없습니다. 작은 성공을 쌓아가며 점진적으로 확산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Q. AI 프로젝트에서도 OKRs가 유용할까요?

OKRs는 AI기술을 맹목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고객 가치를 창출하는데 집중하도록 돕는 도구입니다.

AI프로젝트에서 고려해야할 질문

1)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무엇인가?

2) 누구를 위한 것인가?

3) 기대하는 행동 변화는 무엇인가?

4) 성공은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이런 질문을 통해 단순히 AI유행이 아니라 실제 가치 창출의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기사 원문 보기

https://www.mindtheproduct.com/why-most-companies-struggle-with-okrs-a-conversation-with-jeff-gothelf/

 

Why teams often struggle with OKRs: A conversation with Jeff Gothelf

Objectives and Key Results (OKRs) are one of the most popular frameworks that many companies use to define success; however, many product teams struggle to use them effectively. We sat down with Jeff Gothelf, Author and Leadership expert, to discuss his l

www.mindtheproduct.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