쏜SSON의 PM/PO 달리기
믹스패널을 이용한 데이터 연습 본문
Overview
제품 분석은 사용자가 제품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어떤 기능을 많이 사용하는지, 어디서 중단하는지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사용자의 행동, 선호도 및 문제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의사결정을 유도하는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이 워크숍에는 Mixpanel의 데이터 아키텍처 및 계측을 안내하고 도움이 되는 주요 성능 지표를 정의하기 위해 Analytics 전략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는 방법을 안내하겠습니다.
Analytics Strategy의 중요성
견고한 데이터 분석 전략을 구축하게 된다면 다음과 같은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1)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 : 제품의 성능을 이해하고 개선해야하는 부분을 식별하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찾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데이터 기반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면 제품을 최적화하고 리소스의 우선 순위를 지정하여 제품 목표에 맞게 만들 수 있습니다.
2) 데이터의 증명 : 분석 전략은 제품에 대해 이해관계자, 팀 구성원 및 기타 관련 당사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구체적인 데이터를 제시할 수 있습니다.
3) 협업 및 정렬이 가능 : 분석 전략은 제품, 마케팅, 영업 및 고객 지원팀과 함께 협업하고 이들의 노력을 일치 시킬 수 있는 공통된 프레임워크와 언어를 제공합니다.
제품 분석 전략을 쌓는 방법
기업은 제품을 개선하기 위해 어떤 질문을 해야하는지에 대한 인사이트가 있어야 합니다.
측정하지 말아야 할 것
케이스를 통해 두가지 사례를 보겠습니다.
1. 개발팀의 구현 시간이 늘어납니다. 개발자가 구현할 시간이 없어 여러 스프린트에 걸쳐 구현이 확장되고 결국 스프린트에 의한 우선순위지정을 요청하기 위해 뒤로 미루게 되었습니다. 처음부터 우선순위를 정해보는 것이 어떨까요?
2) 이벤트가 너무 많으면 최종 사용자는 측정해야 할 중요한 이벤트가 무엇인지 알기 어려워집니다. 너무 많은 이벤트는 이벤트의 속성 뿐만 아닌 플랫폼의 속도를 늦춥니다. 만약, 무한 스크롤 측정 시 스크롤이 계속 내려간다면 무한정으로 이벤트가 생성됩니다.
물론 비즈니스에서 모두 적합한 단일의 방법은 없지만 서로의 다른 아이디어가 있기에 제품에 대한 적합한 프레임워크를 만들어가며 만드시는 것입니다.
아래와 같이 트래킹하고자 하는 템플릿을 이용하여 제작해보세요.
https://www.loom.com/share/e6568ba2034f431d97c19cd874fbc0d8?sid=a5f94a25-7a80-4be7-9bf4-f1df531330ec
Adopting A Measurement Framework
www.loom.com
Best Practices
추적하고자 하는 이벤트가 무엇인지 알게 되었으니, 다음 질문은 이러한 이벤트를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대해 고민해야합니다. 이벤트 명명 규칙을 설계할때 이벤트 깊이의 적절한 수준을 고려해야합니다.
만약 넓은 이벤트를 측정하고자 한다면 서로 다른 액션에 필터를 널어야 합니다. 반대로 좁은 이벤트를 측정한다면 액션을 서로 비교애햐할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고객은 사용자가 사이트 및 플랫폼에서 취하는 것과 동일한 조치를 그룹화하여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고객은 사용자가 사이트/플랫폼에서 취하는 것과 동일한 조치를 그룹화 해야합니다.
회원가입 페이지를 고민했을때, 사용자가 많이 클릭한 페이지 및 화면은 어디인지? 어떤 가입 플랫폼이 인기가 많은지? 등을 고려해야합니다.
위 방법 보다, Start_signup을 만들어 최적화 하여 어떤 플랫폼에서 들어오는지에 대한 트래픽 성능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 Mixpan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믹스패널 온보딩 프로세스 - 계획 만들기(2)Framework편 (0) | 2024.04.08 |
---|---|
믹스패널 온보딩 프로세스 - 계획 만들기(1)_Setup편 (0) | 2024.04.07 |
믹스패널 사용법 - Infrastructure (0) | 2024.04.07 |
믹스패널은 어떻게 작동하나요?_Concept편 (0) | 2024.04.06 |
믹스패널이란 무엇인가요? (0) | 2024.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