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12)
쏜SSON의 PM/PO 달리기
고객은 기능이 아닌 '일'을 위해 제품을 구매한다.고객이 단순히 제품의 기능과 특징 때문에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목적을 위해 고용하는 것이라면 어떨까요?사실 실제로 그렇습니다.이것이 바로 'Jobs to be Done(JTBD)' 프레임워크의 핵심 개념입니다. 고객은 특정한 문제를 해결해야하는 상황에 놓였을 때,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품을 선택합니다. 즉,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해결책을 고용하는 것입니다. 이는 마트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는 간단한 소비재부터 복잡한 기업용 소프트웨어까지 모든 제품에 적용됩니다.저는 지난달 고객 경험에서 배울점을 다룬 글에서 JTBD를 짧게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많은 독자가 JTBD에 대해 더 알고 싶다는 피드백을 주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애자일 제품 관리란?애자일 제품 관리는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및 혁신 시장에서 기업이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전략입니다. 애자일 방법론을 제품 관리에 적용하면 변화하는 시장 요구에 신속하게 적응하고, 제품 가치를 극대화하며 빠른 혁신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애자일 제품 관리의 핵심 원칙, 실행과정에서 마주하는 어려움,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소개합니다. 애자일 제품 관리의 원칙애자일 제품 관리는 애자일 프레임워크의 유연성과 반복적인 개선 프로세스를 제품 관리에 접목한 개념입니다. 이 접근 방식은 지속적인 개선, 유연한 대처, 고객 피드백 반영, 그리고 다양한 팀 간 협업을 강조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우선순위를 효과적..
OKR은 많은 기업이 성공을 정의하는데 사용하는 가장 인기 있는 프레임워크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많은 제품팀이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최근 "Who Does What by How Much"의 저자인 제프 고델프와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Q. 이번 책을 집필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요?지난 1년간 책을 집필하고 출간하는데 집중했는데요, 이 책은 OKRs에 고객 중심적인 접근 방식을 적용하여 더 강력하고 유용하게 만드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핵심은 조직이 피처 중심이 아닌 사람 중심의 목표를 설정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결국 기업이 실제 고객의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제품을 개발하도록 돕는 것이 목표입니다. Q.OKRs는 왜 이렇게 널리 사용되고 있..

자세한 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https://www.mindtheproduct.com/a-case-study-4-lessons-from-keyholes-transition-to-product-led-growth/ A case study: 4 lessons from Keyhole’s transition to product-led growth4 Lessons from Keyhole’s transition to product-led growth from sales led, optimizing user activation, conversions and pricing.www.mindtheproduct.com Keyhole의 제품 주도 성장 전략 전환기최근 SaaS 업계에서 제품 주도 성장(PLG - Produc..
저자는 디자인스프린트에 참여했다고 합니다. 디자인 스프린트는 구글 벤처스에서 개발하고 체계화한 린(Lean)개발 워크숍으로 정해진 프로세스를 따라 진행되는 5일간의 집중 세션이라고 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핵심적인 비즈니스 문제를 깊이 분석하고 빠르게 솔루션을 도출한 후 이를 실제 사용자들과 테스트해보는 과정을 거칩니다. 겉으로 보면 디자인 스프린트의 가장 큰 목표는 린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빠르게 진행하여 의미있는 검증된 인사이트를 얻는 것입니다. 여기까지는 익숙한 이야기죠? PM으로 일하거나 제품팀과 협업하는 사람이라면 린 문화를 가진 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다면 새로운 개념은 아닐 겁니다. 프로세스와 이론자체는 익숙할지몰라도 복잡한 문제를 5일만에 해결하고 실제 사용자들과 테스트까지 진행하는 것은 결코 흔..
저자는 첫 PM의 역할을 얻는 것은 쉽지 않지만 빠르게 성장하며 승진하는 것은 더 어렵다고 말합니다. 저자는 A단계의 스타트업에서 어소이에이트 PM으로 입사했을 때 바로 이 문제에 직면했다고 합니다. 업무를 배우면서도 가치를 증명해야 했고, 회사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중요했다고 합니다.스타트업에서 일한다는 것은 곧 높은 수준의 책임감을 가질 기회를 의미합니다. 특히, 초기단계의 스타트업에서는 명확한 역할구분이 없기 때문에, 능동적으로 나서서 배우고 성장할 여지가 많습니다. 저자는 스타트업이 제공하는 이런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을 선호해왔습니다. 덕분에 제품 개발 과정 전반에 깊이 관여할 수 있었고, 대기업보다 훨씬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물론 실수도 있었지만, 이를 인정하고 빠르게..
실패하는 A/B테스트의 패턴과 성공을 위한 실험 설계 방법이커머스 고객 경험(CX)분야에서 프로덕트 매니저로 일하면서 직접 A/B테스트를 설계하고 실행해본 경험 뿐 아니라 다른 프로덕트 매니저들의 실험을 리뷰하는 역할도 맡아왔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가지 패턴이 점점 더 분명해졌습니다. 바로 실험이 실제 사용자에게 노출되기 전에 실패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저는 다양한 실험을 통해 무엇이 효과적인지 뿐만 아니라 무엇이 흔한 설계 실수로 인해 실패하는지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간단한 UI변경부터 백엔드 주문 처리 방식 개선까지 많은 프로덕트 매니저들이 실험을 통해 성공을 이루기도 했지만, 때로는 불필요한 시간과 리소스, 그리고 신뢰를 잃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습니다.이 글에서는 제가 직접 경험한 두가지 사..
소프트웨어 제품이 성공하느냐 실패하느냐를 가르는 중요한 순간 중 하나가 바로 제품 출시입니다. 이는 몇개월, 때로는 몇년간의 기획과 실행의 결과를 세상에 공개하는 결정적 이벤트이기도 합니다. 성공적 출시가 제품을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지만, 실패한 제품은 사람들의 관심에서 멀어지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과정의 중심에는 제품 관리자가 있습니다. 제품 출시는 단순한 행사 이상의 의미를 갖고 시장에서의 첫 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신생기업의 42%가 시장의 수요 부족으로 인해 실패한다고 합니다. 결국 제품 출시는 단순 마케팅 이벤트가 아닌 시장에서의 제품 필요성을 검증하고 사용자들의 관심을 끌며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과정입니다. 경쟁이 치열하고 선택지가 넘쳐나는 디지털 시..